남코에서 만드는 게임 시리즈. 파이널 판타지나 드래곤 퀘스트처럼 발매 되었다 하면 뉴스에까지 나오는 그정도의 인지도를 가지고 있진 않으나 1~3년에 한 작품씩 꼭 발매를 한다. 타이틀발매년도플레이 기종기타테일즈 오브 판타지아1995슈퍼패미콤한국어 패치 있음테일즈 오브 데스티니1997플레이스테이션영어 지원테일즈 오브 이터니아2000플레이스테이션 한국어 패치 있음테일즈 오브 데스티니 22002플레이스테이션2한국어 음성,자막 지원테일즈 오브 더 월드나리키리 던전22002게임보이 어드밴스 한국어 패치 있음테일즈 오브 심포니아2003, 2016PC 한국어 패치 있음13년이나 지난 게임의 이식테일즈 오브 리버스2004플레이스테이션2영문 패치 있음테일즈 오브 레젠디아2005플레이스테이션2 한국어 자막 지원테일..
첫 닌텐도 DS기기용 작품. 이 시기에 나온 여타 테일즈 시리즈처럼 이 게임 역시 외주 개발사에서 개발을 했는데 첫 작이라 그런지 완성도가 그리 좋지 못하다. 게임이 부족하면 뭔가 아쉽다는 느낌이 들기 마련인데 이 게임은 아쉬운 느낌이 아니라 부족 느낌이 강하다. 그래서 그런지 일본에서 쿠소게임이란 평가를 받기도 했다.인필드, 마을, 전투, 스토리 모든 방면에서 조금씩 부족한데 일단 인필드 화면을 보자면,필드는 (기기 사양때문인지) 심심하기 그지 없는데 넓은 느낌을 주려 했었는지 마을간 거리를 굉장히 멀게 설정해놨다. 때문에 필드내 한 마을에서 다른 마을까지 이동하는데 많은 시간을 잡아 먹는다. 감상할 거리가 없는 심심한 필드를 한없이 걸어가는건 그다지 유쾌한 일이 아니다. '마비노기'라는 MMORPG ..
테일즈 오브 레젠디아의 후속작이지만 레젠디아가 외주 제작에다가 외전같은 느낌이 강하게 드는지라 실상은 테일즈 오브 리버스의 후속작에 가깝다.테일즈 오브 심포니아처럼 Ful 3D화 되었고 신체 비율도 데포르메가 아닌 7등신 캐릭터로 표현이 되었다. 때문에 인물의 표현력이 매우 좋아졌고 얼굴 표정이 잘 나타나 이전작에 비해 매우 발전했다는 느낌을 팍팍 풍기고 있다.필드맵은 이전작에 비해 큰 변화는 없지만 랜드마크나 도시등은 특색있게 표현되어 있다. 다만 기기의 한계인건지 개발 능력의 한계인건지 필드맵은 도시맵에 비해 여전히 허전한 편이다.전투는 좀 다이나믹하게 변경되었다. 이전작과 같이 3열 대형이지만 라인간 이동이 너무나 자연스러워 전투를 하다보면 라인이 존재한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게다가 라인을 초월..
테일즈 오브 리버스의 '리버스'는 역행(Reverse)가 아니고 다시 태어나다(Re-birth)의 의미이다.일본어 판으로만 발매가 되었으나, 해외에서 알음알음 인기가 있었는지 Life Bottle에서 영문 패치를 내 놨다. 꽤나 난관이 있었다고 들었는데 게임을 하다보니 그 난관이 뭔지 알겠다.바로 글자의 입력. 일판으로만 나왔기 때문에 입력도 일본어 단어만 가능한데, 번역팀에서 어찌어찌해서 영어 입력이 가능하도록 수정한 모양이다.Full 3D화 했던 심포니아의 후속작이지만 어째선지 2D 스프라이트에 필드만 3D인 데스티니2 방식의 그래픽을 채용했다. 플레이스테이션2로는 Full 3D로 표현하기에 제약이 있다... 라고 말하기엔 파이널 판타지 10도 있어서 그냥 제작사의 기술력 한계인 듯 하다.전투에 있어..
닌텐도DS로 출시된 작품. 테일즈가 쏟아져나오던 시기의 작품답게 남코 본사가 개발한건 아니고 '알파시스템'에 외주를 줘서 개발한 게임이다.2007년에 발매한 만큼, 이전작의 장점이던 부분을 꽤나 많이 흡수했다. 심포니아의 심볼 인카운트라던가, 디 어비스의 자유 전열 및 프리런이라던가... 때문에 전투의 손맛은 꽤나 괜찮은 편이다. 아군들이 어느정도 슈퍼아머를 가지고 있어 약한 공격쯤은 받아도 콤보가 끊기지 않아서 콤보를 이어가는 재미는 꽤 된다.문제는 장점이 그게 다라는 것이다.가장 큰 문제는 스토리인데, 비록 테일즈 시리즈가 스토리 부문에선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하지만 이번작은 스토리가 심각하게 망가져 있다. 스토리로 욕을 먹는 레젠디아는 애교로 보일 수준이다. 게임하는 내내 무슨 소리야? 왜 이러는거..
테일즈 시리즈 2005년 작. 200X년은 namco 가 필 받았는지 테일즈 시리즈를 엄청나게 내 놓은 시절이기도 하다. 드래곤 퀘스트나 파이널 판타지 처럼 이 테일즈 시리즈도 유명 브랜드에 이름을 올리려는 의도였지 싶다.(내가 드래곤 퀘스트 빠가 아니어서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간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파이널 판타지의 경우는 각 시리즈별로 꽤나 큰 차이점들이 있어 게임이 발전한다 (혹은 덜 발전했다)라는 느낌을 주지만, 이 테일즈 시리즈는 비슷비슷한 시스템으로 다작을 하다보니 RPG 쯔구르로 만든 RPG 같은 발전없는 모습이 보인다.마찬가지로, 테일즈 오브 레젠디아 역시 기존과는 자잘한 변경은 있지만 '자잘한' 변경 뿐이라 스토리만 바뀐 '테일즈 오브' 느낌을 준다. 그 스토리마저 큰 발전이..